
▷1962년 대구시 동구 안심동 출생 ▷대구 반야월초'안심중'경명여고 졸업 ▷경북대 영어교육
학과 졸업 및 동대학원 석사 ▷미국 American University 특수교육(학습장애 전공) 석사 ▷단
국대 교육학 박사 ▷전 대구 동촌중'안심중'지산중 교사 ▷전 국립 서울맹학교 교감 ▷전 국립
특수교육원 기획연구과장'연수과장 ▷전 교육과학기 술부 교육연구관 ▷브레인트레이너협회
운영이사 ▷한국뇌과학연구원 부원장 ▷청소년멘탈헬스인성교육협회 회장 ▷벤자민인성영재
학교 교장 사진 이성근 객원기자
김나옥(53) 벤자민인성영재학교 교장은 "국가 장학금으로 공부했으니, 나라에 보답해야 한다"는
아버지 말씀을 늘 새기고 있다. 6'25전쟁 보훈대상인 아버지 덕분에 고교 때까지 장학금을 받았다.
대학 졸업 후 대구에서 중학교 교사를 하던 중 학교생활 적응에 힘들어하던 지체장애 학생을 보면서
특수교육에 눈을 돌렸다. 국립특수교육원에서 뇌교육을 배우고, 미국 특수학교 인턴십, 뇌교육 박사
논문 등을 통해 뇌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에 골몰했다. 이후 장애학생 등이 어우러진 통합교육을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교육부 문을 두드렸다.
(중략)
-벤자민학교의 지향점과 바람은
▶청소년기 1년 정도는 자신을 성찰하면서 꿈과 목표를 찾는 기회를 가질 필요가 있다. 학생들이 모두
자기 가치를 찾고 행복해지는 것이 지향점이다. 당초 ‘미인가 학교는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우려했던 교육부 동료, 선후배들이 지금은 "대사건이고, 기적이다. 더 많이 알려지게 되면 대한민국 교육이
바뀔 것"이라고 놀라워한다. 비록 정규 교과수업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인가를 받지 못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공교육의 일환으로 인정됐으면 한다.
미래에 필요한 인재의 공통점은 인성과 창의성이다. 그 기본바탕은 ‘내가 진짜 소중한 사람’이라는
자존감이다. 이를 만들어주는 것이 벤자민학교다. "자신감이 생겼다" "나는 괜찮은 아이인 것 같다"라는
말이 벤자민학교의 가장 큰 성과다.